본문 바로가기
IT&경제&맛집 생활백서

US 관세 장군 vs 국채 멍군…2025년, 미국 국채 사도 될까?

by 주군연 2025. 5. 21.

20255월, 미국 국채 시장에 역사적인 일이 벌어졌습니다.
중국이 245개월 만에 미국 국채 보유 2자리를 영국에 내줬다소식, 알고 계셨나요?


 

🧨 미국 국채, '가장 안전한 자산'균열이?

  • 미국 국채는 글로벌 금융시장에서 가장 안전한 자산으로 통합니다.
  • 하지만 최근 중국의 보유량이 급감하면서 시장의 시선이 달라지고 있습니다.

📉 중국의 미국 국채 보유량 변화

시점보유량 (달러)변화폭
201311 13,160 최고점
20242 7,843 -40% 이상 감소
20243 7,654 189억 (1개월 기준)
 

 


🌍 줄이나? 단순한 매도 아냐, '전략적 포석'

중국이 미국 국채를 팔고 있는 이유는 명확합니다.
"달러 의존도 탈피", "미국과의 통상 협상 카드 확보", 그리고 **"기축통화 질서에 대한 반감"**핵심이죠.

💬 하나증권 김상만 연구원:
"포트폴리오 다변화를 위한 중장기 전략…단기간 대량 매도는 어려워도 꾸준한 감축 이어질 것"

📌 중국이 국채 대신 투자하는 곳은?

  • 금 → 6개월 연속 매수, 역대 최고 보유량
  • 유로화/엔화 통화 다변화
  • 가상자산 추정 (비트코인 등)
  • 벨기에·룩셈부르크 중개를 통한 '우회 보유' 가능성

📉 미국 입장에서 최악의 시나리오

중국의 매도는 미국에게 조용한 역공입니다.

  1. 국채 수요 감소
  2. 국채 가격 하락
  3. 금리 상승
  4. 미국 정부의 이자 부담 증가

💬 메리츠 윤여삼 연구원:
중국 자금이 벨기에·룩셈부르크 경유로 숨겨졌을 가능성…통계상 감축 효과 얻는 눈속임일 있다.”


💡 투자자에게 주는 시사점

금리 상승 위험: 국채 금리 상승은 채권 투자자에게 손실로 직결될 있음
정치 리스크 반영: 통상 갈등, 대선, 신용등급 하향 미국 내부 리스크도 존재
달러 대안 탐색: 금, 유로, 엔화, 일부 비트코인 자산에 분산 가능성


📌 결론: 지금 국채를 사도 될까?

  • 아직까지는 달러와 미국 국채는 절대적인 중심 자산입니다.
  • 하지만 중국의 장기 매도 흐름, 미국의 재정 건전성 악화, 지정학적 리스크까지 고려하면
    👉 절대 안전한 자산’이라는 믿음은 점차 희석되고 있다고 봐야 합니다.

🧭 따라서 미국 국채 비중은 ‘안정 수단’이되, 과신은 금물입니다.
국채+금+기축통화 다변화 자산 조합필요한 시점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