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IT&경제&맛집 생활백서

US 혼돈의 40일, 다시 '바이 아메리카'…미국 시장으로 자금 쏠리는 이유는?

by 주군연 2025. 5. 19.

지난 40동안 세계 시장은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 폭탄’ 정책 발표로 인해 극심한 혼란을 겪었습니다.
하지만 미중 전격적 ‘90휴전’ 합의 이후, 글로벌 자금은 다시 미국 증시로 급속히 유입되며
다시 바이 아메리카(Buy America)” 전략에 불이 붙고 있습니다.

과연 이번 흐름이 의미하는 바는 무엇이며, 어떤 점들을 주목해야 할까요? 지금부터 정리해드립니다.


📉 트럼프 ‘관세 선언’ 이후… 40일간의 롤러코스터

  • 43일, 트럼프가 세계를 향해 상호관세 도입 선언
  • 발표 직후 2달러의 자금이 증시에서 이탈
  • 글로벌 시장은 경기침체 우려와 함께 급락세 진입

하지만 40만에 미중 협상 타결 소식이 전해지면서 시장은 급반등합니다.


💸 전격 휴전 이후, 2달러 미국 증시로 ‘컴백’

  • 협상 소식 발표 직후, 2달러 이상이 미국 증시로 재유입
  • S&P500 +3.3% 급등 (53번째로 상승폭)
  • 기술적 지지선인 200이동평균선 돌파
  • 글로벌 MSCI ACWI 지수도 17% 회복, 연초 수준 대부분 회복

🧭 불확실성 완화 + 기술적 반등 신호가 맞물리며 “바이더딥(Buy the Dip)” 전략이 유효했던 시점


🔁 피난처였던 유럽·중국 자금, 다시 미국으로?

  • 공포지수(VIX) 60 → 20이하로 급락
  • 달러인덱스 101.7까지 반등 (1개월 최고치)
  • 국내 투자자들도 4말부터 미국 주식 순매수세 확대

다시 말해, 글로벌 투자자들은 “미국이 결국 가장 안전한 투자처”라는 판단을 내린 것입니다.


⚠️ 하지만 낙관은 이르다… 인플레·성장률 변수

  • 합의는 ‘90휴전’뿐, 완전한 타결 아님
  • 관세율 자체는 과거보다 3이상 높아진 상태
  • 연준 인사들 경고:
    • 쿠글러 이사: “물가상승 억제엔 부족”
    • 굴스비 총재: “스태그플레이션 가능성 우려”

📉 인플레이션 영향은 지속되고 있으며, 실물경제 데이터가 뒷받침돼야 진정한 회복이라 있습니다.


💻 기술주 반등 신호… 엔비디아·아마존·TSMC 상승

  • 아마존 +8%, 중국 매출·광고 비중이 기대감 증가
  • 메타·테슬라·엔비디아 5~6% 상승
  • 엔비디아 시총, 다시 3달러 돌파
  • 브로드컴, AMD, 퀄컴, TSMC 반도체 업종 전반 반등

IT전문가 아이브스:
이번 완화는 기술주 강세장의 시작.
엔비디아는 단기·중장기 가장 강력한 수혜주


🔍 앞으로 주목해야 3가지 이슈

  1. 90미중 협상
    • AI, 반도체 수출 제한 완화 여부
    • 중국의 미국산 제품 구매 명시 약속 포함될지 여부
  2. 미국 CPI 발표 (513저녁 9:30) →
    • 관세 정책이 실제 인플레이션 수치에 영향 미쳤는지 확인
  3. 정치 리스크
    • 트럼프의 태도 변화 가능성
    • 향후 발언·SNS 메시지로 인한 시장 혼란 가능성

블로그 요약 정리

항목내용
미중 휴전 90임시 협상, 시장은 긍정적 반응
기술주 상승 관세 완화 기대 → 엔비디아, 아마존, 메타 급등
인플레이션 완화되지 않은 물가 리스크 여전
투자 전략 S&P 500, MSCI ACWI 회복 → 미국 중심 전략 강화
주의사항 정치 이벤트 & 실물 경제지표 함께 주시 필요
 

🎯 마무리 한줄평

40일의 혼돈을 지나 다시 미국으로.
하지만 ‘진짜 대타협’ 전까지는 뉴스 줄에 흔들릴 있는 시장입니다.”